# 프린터 출력
lp /etc/passwd > /etc/passwd 파일의 내용 출력하는 명령어
- BSD 계열 vs System V 계열
lpr, lp : 프린트하기, 출력하기
lpq, lpstat : 프린터 큐 상태 확인
lprm, cancel : 프린터 큐 작업 삭제
lpc : 프린터가 인쇄 가능 상태인지 확인
[리눅스 마스터 2급] 프린터 관련 명령어
리눅스의 프린터 관련 명령어는 2가지 계열로 나눠서 생각해야 한다 먼저 BSD(Berkeley Software Distribution) 계열이 있고, System V 계열이 있다 BSD는 교육용(무료)이고 System V는 상용(유료)이다 1. BSD 계열
honglab.tistory.com
# LVM 관련 용어
- 논리적 볼륨 LV : 사용자가 필요한만큼 할당하여 만들어지는 공간으로 물리적 디스크에서 분할하여 생성하는 파티션과 같은 개념
- LE : LV를 구성하는 일정 크기의 블록, 기본 크기는 4MB
- 물리적 볼륨 PV : 기존의 블록 디스크를 LVM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변환한 볼륨 형식
- 물리적 확장 PE : PV는 PE라 불리는 일정 크기의 블록으로 구성됨, 기본 크기는 4MB
- 볼륨 그룹 VG : 여러 PV를 하나의 VG로 묶어 통합 가능
- OSS : 리눅스 및 유닉스 운영체제에서 사운드를 만들고 캡쳐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표준 유닉스 시스템 콜을 사용한다. Hannu Savolaonen에 의해 만들어졌으며 현재 4종류의 라이선스 옵션을 기반으로 배포됨
- IPP : 인터넷상에서 원격으로 인쇄하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토콜명
- 디스크 중에 한 개라도 오류가 발생하면 데이터 복구가 불가한 RAID 구성법 > RAID-0
[리눅스마스터 1급:#7] 리눅스와 RAID
안녕하세요 박봉달입니다! 오늘은 리눅스 마스터 1급 공부 여섯째날의 기록을 남겨보도록 하겠습니다. 서적은 이기적 리눅스마스터 1급 이론서+기출문제를 기본으로 하고 있습니다. 1. 리눅스와
things-voyager.tistory.com
# 데비안 계열 리눅스에서 사용하는 패키지 관리 도구 : dpkg, apt-get, aptitude
# 레드햇 계열 : rpm, yum, YaST
# 온라인 기반 패키지 관리 도구 : apt-get, yum, zypper
yum을 이용해서 nmap 패키지를 제거하는 명령어 > yum remove nmap
[리눅스마스터 1급] 2과목 yum, rpm 패키지 관련
개념 rpm은 레드햇 기반 리눅스에서 패키지 관리를 지원합니다. rpm 명령어의 주요 옵션 옵션 내용 -U 기존 설치된 패키지를 새로운 버전으로 업그레이드 한다. 만일 기존에 설치된 패키지가 없을
i5i5.tistory.com
# rpm 명령에서 설치할 때 사용하는 옵션
-i : 패키지 설치
-U : 업그레이드, 업데이트하면서 설치
-F : 이전 버전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만 설치
* -f : 특정 파일 설치한 패키지 명 확인
의존성 있는 httpd 패키지를 강제로 제거하는 명령어 : rpm -e httpd --nodeps
리눅스 마스터 1급 2차 기출 정리 - 소프트웨어 설치 및 관리
rpm 프로그램 설치를 위한 레드햇 패키지 매니저 (RedHat Package Manager) rpm [option] [설치할패키지명] option 설명 -e (erase) 패키지 삭제 -qR (query Relate) 설치 된 패키지의 의존성 확인 -qf (query file) 특정 파
meongj-devlog.tistory.com
🔥🔥🔥🔥🔥
리눅스 마스터 1급 2차 정리 5 - 패키지 관리
Chapter 4. 패키지 관리 배포판별 패키지 관리 (기본 패키지 관리 / 온라인 패키지 관리) 래드햇 : RPM / YUM 데비안 : Dpkg / apt-get 수세 : YaST / Zypper 소스파일 설치 단계 configure : 소스 프로그램의 환경설
2mukee.tistory.com
# 소스 파일을 이용한 설치 방법이 같은 것 : Apache httpd, Nmap, PHP
# 아파치 웹 서버 소스 파일 내려받은 후 압축 해제하는 과정 > tar jxvf httpd-2.4.53.tar.bz2
# 소스 파일 이용한 설치 단계 : configure > make > make install
# vi 편집기 명령
:q! 변경된 내용 저장하지 않고 종료
:w! 강제로 저장
:e! 현재 편집중인 내용 무시하고 가장 최근에 편집한 내용 다시 편집하기
yy : 커서가 위치한 줄부터 복사
dd : 삭제
p : 현재 커서 아래줄부터
- 행 번호 활성화
cat > .exrc
set nu (비활성화는 set nonu)
리눅스 Vi편집기 명령어정리
[1] 시작 셀상에서 vi [파일명]를 입력하면 새로운 문서를 편집할 수 있는 환경이 만들어 집니다. 예) >vi 기존의 문서를 편집하고자 할 때에는 파일의 이름을 구체적으로 명시합니다. 예) >vi file1
nextline.tistory.com
[ 리눅스 마스터 ] Linux 기본 편집기 명령어 사용법(vim/vi)
LINUX 기본 편집기 [ vi editor ] _ vim /home/ktest/inittab vi editor - 문서 편집기 한 행씩 편집...
blog.naver.com
# vi : 빌 조이
# emacs 편집기 : 리처드 스톨먼
# pico : 워싱턴 대학에서 만든 유닉스용 편집기 > nano
# vim : 브람 무레나르
# gedit : 그놈 데스크톱 환경용
# 리누스 토발즈 : 초기 리눅스 개발
# 켄 톰슨 : 유닉스 개발
# 백그라운드로 수행 중인 프로세스 확인하는 명령어 > jobs
# 백그라운드 프로세스로 실행하려 할 때 > &
# 작업 중인 터미널이 닫혀야 실행 중인 프로세스를 계속해서 백그라운드 프로세스로 유지하려 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 > nohup
# kill (기본은 -15 / 15번 시그널)
kill -9 PID번호 > 프로세스 강제 종료
kill -1 PID번호 > 프로세스 재시작
# 우선순위 변경하는 명령어 > renice -10 1222
# Daemon : 주기적이고 지속적인 서비스 요청을 처리하기 위해 계속 실행되는 프로세스의 일종의 백그라운드 프로세스
# fork 하나의 프로세스가 다른 프로세스를 실행할 때 호출하는 방법으로 새로운 프로세스를 위해 메모리를 할당받아 복사본 형태로 프로세스 실행함, 새로 생성된 프로세스는 원래 프로세스의 자식 프로세스됨
# CentOS 7 버전에서 모든 프로세스의 시작이 되는 프로세스 : systemd
# cron
분 시 일 월 요일(일요일이 0)
[리눅스마스터 2급] 크론/크론탭 (cron/crontab)
크론(cron) 한마디로 예약작업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예약된 시간에 반복적인 작업을 하는 작업인데, 우리가 서버를 켜지않아도 작업한다. 즉, 리눅스에서는 터미널이 끊어져도 작업을 한다는
studyheon.tistory.com
# 시그널명, 번호 조합
Ctrl+z 키 조합 > SIGTSTP, 20
Ctrl + c > SIGINT, 2
Ctrl + \ > SIGQUIT, 3
[리눅스 / 유닉스 ] 시그널이란? 시그널(SIGNAL) 종류, 상황, 유사 시그널 차이점
[리눅스 유닉스 완전 정복 목차] 안녕하세요~ 오늘은 시그널 SIGNAL 에 대한 간략 포스팅을 진행하고자 합니다! 트와이스의 곡 시그널이 유행(?)하면서 시그널이 신호를 의미한다는건 다들 알고 계
jhnyang.tistory.com
# 명령어 히스토리 기능 : 기존에 실행한 명령들을 위/아래 방향키를 사용하여 검색 및 편집하여 특정 명령을 반복해서 수행할 수 있는 셸 기능
# /etc/shells > 현재 사용 가능한 셸 목록 정보가 저장된 파일명
# bash : 1989년 브라이언 폭스가 GNU 프로젝트를 위해 개발한 셀로 명령 히스토리, 명령행 편집 등 다양한 기능 지원함
# bash 셸 파일 및 디렉터리
/etc/profile : 시스템 전체에 적용되는 환경변수
~/.bash_profile : 환경변수와 시작프로그램 설정 / 특정 디렉터리를 명령어 검색 디렉터리로 지정하기 위해 환경변수 PATH에 등록하고 계속해서 사용할 때
/etc/bashrc : 시스템 전체에 적용되는 alias와 함수
~/.bashrc : 개인 사용자가 정의한 alias와 함수
~/.bash_logout : 개인 사용자가 로그아웃 시 수행하는 설정
# 선언된 셸 변수 해제하는 명령어 > unset
# 선언된 셸 변수 전부 확인할 때 쓰는 명령어 > set
# echo $USER : 사용자의 이름을 출력하는 문장
# echo $SHELL : 로그인 셸 확인
# ps : 사용자가 로그인 후에 사용 중인 셸 확인
# 디스크
# du -sh ~ihduser : 사용자의 디스크 총 사용량 확인
# edquota ihduser : 사용자의 디스크 쿼터 설정
리눅스마스터 1급 / df, du, quota - 디스크 용량 및 쿼터
리눅스마스터 1급 / df, du, quota - 디스크 용량 및 쿼터 df (disk free) 명령어 각 마운트된 디스크에서 사용 가능한 디스크 공간을 표시합니다. du (disk usage) 명령어 파일 시스템 상의 특정 디렉터리나
zidarn87.tistory.com
[ 리눅스 마스터 ] 리눅스 디스크 할당량 관리 ( Quota ) 방법 총정리 + 실습
LINUX 디스크 할당량 관리 ( Quota ) 1. Disk Quota - 디스크사용량 제어 1) 리눅스를 사용하는 사...
blog.naver.com
리눅스마스터 2급 2차 [파일 시스템]
디스크 쿼터를 공부하다가 다시 앞으로 돌아가서 mount(+마운팅 방법)도 제대로 공부하고포맷도 다시 알아보니 새로운 개념을 알게된 기분이라서 세가지 개념을 주절주절적어봤다. 실습도 중요
thisisprogrammingworld.tistory.com
# /project 디렉터리를 포함해서 하위 디렉터리 및 파일 그룹 소유권을 project로 변경 > chgrp -R project /project
[리눅스마스터 2급] 소유권(chown, chgrp)
소유권(Ownership) ->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소유하여 지배하는 권리를 말한다. 소유권은 `ls -l` 명령어로 확인할 수 있는데, `ls -l` 명령어를 통해 소유권이 나타나는 부분은 2개의 필드이다. [posein@www
studyheon.tistory.com
리눅스 마스터 요약정리 #1-1 : 권한 및 그룹 설정
리눅스(Linux) 시스템의 모든 파일과 디렉터리에는 접근 권한과 소유권이 부여됩니다. 오늘은 이를 확인 및 제어하고, 특수 권한과 디스크 쿼터까지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1. 파일 속성 조회 방법
thinking-developer.tistory.com
# chmod 특수권한
u+s(실행파일만 가능), g+s, o+t(디렉터리에 적용)
[ 리눅스 마스터 ] 리눅스 특수권한 총정리 (개념, 명령어, 실습 )
LINUX 특수 권한 [ special permission ] 특수 권한 시스템 관리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하는 특...
blog.naver.com
# umask
파일은 666, 디렉터리는 777
umask 022 > 666-022 > 644 > rwxr--r--
#루트 사용자는 0022 / $일반은 0002
# XFS 파일 시스템으로 구성된 /dev/sdb1 파티션을 점검 및 복구하는 과정 > xfs_repair /dev/sdb1
# mount
마운트(mount) 뜻, 관련 명령어 & 문제 (fdisk, df, mkfs,디스크마운트)
리눅스 완전 정복 : 리눅스 목차 아마 마운트라는게 윈도우 운영체제에서는 우리가 실감할 일이 없기 때문에 리눅스를 처음 접하시는 분들은 헷갈릴 수 있는 개념이예요. 오늘은 마운트에 대해
jhnyang.tistory.com
🔥🔥🔥🔥🔥
리눅스 마스터2급 2차 리눅스운영 및 관리 정리
umask일반 파일인 경우 666 , 디렉토리인 경우 777에서 umask 값을 뺀 값을기본 허가권으로 조정.(ex. umask 가 022 인 경우,파일 666 - 022 = 644 , 디렉토리 777 - 022 = 755 의 방식으로 계산된다.umask 077로 설정
heelab.tistory.com
리눅스마스터 1급 2차(실기) 기출문제 풀이 - 2020년 1회(단답식)
* 문제 출처 : https://www.ihd.or.kr KAIT 자격검정시험&#...
blog.naver.com
'자격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마스터 2급] 2과목 리눅스 활용 기출정리 (0) | 2022.11.19 |
---|---|
[리눅스 마스터 2급] 인터넷 서비스 / 네트워크 설정 / 기술 동향 (0) | 2022.10.29 |
[리눅스 마스터 2급] 네트워크 / 프로토콜 / IP (0) | 2022.10.29 |
[리눅스 마스터 2급] X-윈도우 (0) | 2022.10.29 |
[리눅스 마스터 2급] 주변 장치 연결 및 설정 / 프린터 / 사운드 카드 / 스캐너 (0) | 2022.10.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