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AN 원거리 통신망 : 속도 느림, 전송 에러율 높음, 전용선, 회선교환망, 패킷교환망
- SAN : 스토리지 전용 고속 네트워크, 파이버 채널 이용하여 구성되는 저장장치 네트워크, 호스트 컴퓨터 종류에 구애받지X, 연결된 저장장치 사이에 대용량 데이터 고속 전송가능, 직접 블록 I/O로 전환해서 전송
- LAN 토롤로지 topology : 호스트 및 장비들의 물리적인 배치 형태 (성형star, 망형full mesh, 버스형bus, 링형ring, 트리형tree)
- 토폴로지
* 장애 발생 시에도 다른 시스템에 영향이 적고 우회할 수 있는 방법이 존재하여 신뢰성 높음, 설치 비용이 많이 들고 운영 어려움, 장애 발생 시 고장 지점 찾기 쉽지 않음 : 망형
- 매체 접근 제어 방식
CSMA/CD : 단말기가 전송로의 신호 유무를 조사하고 다른 단말기가 신호를 송출하는지 확인
토큰 패싱 : Token 흐름에 의해 전송 순서 결정됨, free token, busy token 이용해서 매체 접근 제어
🔵 네트워크 장비
- LAN 구성 장비 : 케이블 cable (보호 외피나 외장 안에 두 개 이상의 전선이나 광섬유로 묶어있음, TP케이블,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리피터 repeater (신호 재생, 증폭기능 수행하여 물리적인 거리 확장시킴), 허브 Hub (신호를 노드에 전달해줌, 네트워크 확장, 다른 허브와의 상호 연결, 신호의 증폭), LAN 카드 (네트워크 접속할 수 있도록 컴퓨터 내에 설치되는 확장 카드, 전기신호, MAC 주소 이용하여 데이터 수신 여부 판별), 브릿지 bridge (모든 수신 프레임 버퍼에 저장, 주소에 따라 목적지 포트로 프레임 전달하는 장비, 큰 네트워크를 Segment로 나눌 필요있을 때 사용, 필터링), 스위치 switch (브릿지와 비슷한 기능, 소프트웨어 기반인 처리 방식으로 빠르게 데이터 전송, 맥 주소 테이블 기반으로 프레임 전송, 스위칭 허브는 전용매체교환 기술 이용해서 트래픽 병목 현상 제거, 포트별로 속도가 전용으로 보장됨)
🔵 인터네트워킹 장비
- 라우터 router
OSI 모델의 물리 계층, 데이터링크 계층, 네트워크 계층 기능 지원하는 장치
서로 다른 통신망과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네트워크 간의 통신 가능하게함
LAN 연결시켜주는 망 연동 장치
전용회선, 최적의 경로 설정 데이터를 목적지까지 전달함
- 게이트웨이 gateway
서로 다른 형태의 네트워크를 상호 접속하는 장치
데이터 포맷 등 두 개의 시스템 사이에서 중계자 역할
- UTP 케이블링 : 다이렉트 케이블, 크로스오버 케이블(같은 장치 연결)
- OSI7 모델과 TCP/IP 모델
논리적인 주소 = IP
- 계층별 프로토콜 : 특정 통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규약, 두 노드 사이의 정보 교환 시 발생하는 통신상의 에러를 피하기 위해 합리적인 통제를 함
- 프로토콜 구성요소
형식 syntax : 데이터 포맷 형식, 부호화 및 신호 레벨
의미 semantic : 특정 패턴을 어떻게 해석하고, 어떤 동작을 할 것인지 결정, 전송의 조정 및 오류 처리를 위한 제어 정보
순서 timing : 속도 일치 및 순서 제어
- 인터넷/네트워크 계층 프로토콜 : IP, ICMP, IGMP, ARP, RARP
- 전송 계층 프로토콜 : TCP, UDP
- 응용 계층 프로토콜 : SMTP, POP, Telnet, SSH, HTTP, SNMP, TFTP, DHCP
* telnet : 원격 시스템으로 접속하여 명령이나 각종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시킬수 있는 단말기 서비스 프로그램
* FTP : 양쪽 컴퓨터를 연결하여 파일으로 송수신하는 서비스 프로토콜
* HTTP : 웹을 통해 다양한 종류의 전자문서들을 서비스하는 프로토콜
🔵 IP 주소와 도메인
- IPv4 주소 체계
4개의 옥텟으로 구성, 각 옥텟은 8비트 총 32비트
클래스 E는 240~255 사이의 대역에 있고 IP 주소 부족을 위해 예약해놓은 것
네트워크 ID와 호스트 ID로 구성됨
서브넷 마스크는 네트워크 부분과 호스트 부분을 구분해주는 값 > 효율적인 네트워크 분리 가능하게함
* traceroute : 특정 호스트 또는 IP까지 연결된 노드 알아보는 명령어
* dig, host : 특정 도메인이 사용하는 IP 주소 조회하는 명령
* VirtualBox와 같은 가상화 프로그램으로 리눅스를 설치할 때 선택하는 IPv4 설정항목 : 자동(DHCP)
- 서브넷팅 : 특정 네트워크를 여러개의 네트워크, 브로드캐스트 도메인을 나누는 것, IP 주소의 부족 현상 해소하기 위한 방안, 디폴트 서브넷 마스크를 기준으로 해서 네트워크 ID 비트수를 늘리고 호스트 ID 비트수를 줄이는 것, 늘어난 네트워크 ID 비트는 서브넷 ID라고함
- IPv6
'자격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마스터 2급] 1과목 리눅스 운영 및 관리 기출정리 (0) | 2022.11.18 |
---|---|
[리눅스 마스터 2급] 인터넷 서비스 / 네트워크 설정 / 기술 동향 (0) | 2022.10.29 |
[리눅스 마스터 2급] X-윈도우 (0) | 2022.10.29 |
[리눅스 마스터 2급] 주변 장치 연결 및 설정 / 프린터 / 사운드 카드 / 스캐너 (0) | 2022.10.28 |
[리눅스 마스터 2급] 에디터 / 데비안, 레드햇 (1) | 2022.10.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