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리눅스 마스터 2급] 리눅스 기본 설치 및 유형 / 파티션 / 부트로더

say! 2022. 10. 25. 18:08
728x90

- 리눅스 설치 개요

리눅스 배포판마다 설치 환경과 설치 과정이 다름

패키지에 따라 데스크탑형, 서버형, 사용자 정의형으로 구분함

설치 전에 시스템에 있는 모든 파일을 백업해둠

멀티 부팅 시스템을 만든다면 현재 운영체제의 배포 미디어를 갖고 있어야함

부팅 드라이브를 다시 파티션 하는 경우라면 운영체제의 부트로더를 다시 설치해야 할 수도 있고 더 많은 경우에 운영체제 전체를 해당 파티션에 다시 설치해야함

 

- 리눅스 설치를 위한 하드웨어 정보 파악

하드웨어 정보, 호환성(제조회사 메뉴얼 찾아보기) / 네트워크 설정

 

🔵 파티션

하나의 물리적 디스크를 논리적인 디스크로 분할하는 것

주 파티션 Primary Partition, 확장 파티션 Extended Partition, 논리 파티션 Logical Partition, 스왑 파티션 Swap Partition

> 부팅 시간 단축가능, 안정성 보장

 

- 주 파티션 Primary Partition

부팅 가능한 파티션 > 부팅이 가능한 파티션은 디스크에 하나이상 존재해야함

최대 4개 > 주 파티션 안에 확장 파티션 설정해서 4개 이상 만들 수 있음 (확장 파티션 안에 여러개의 논리 파티션을 분할하여 데이터 저장)

 

- 확장 파티션 Extended Partition

주 파티션 내에 생성, 물리적 디스크에 1개만 생성

파티션 번호는 1~4번 할당

데이터 저장 영역을 위한 것이 아니라 논리 파티션 생성

 

- 논리 파티션 Logical Partition

확장 파티션 안에 생성

5번 이후의 번호

12개 이상 생성하지 않는 것을 권고

 

- 스왑 파티션 Swap Partition

하드디스크의 일부를 메모리처럼 사용하는 영역

주 파티션이나 논리 파티션에 생성

리눅스에서 반드시 분할해야함

RAM 용량의 2배 권장

가상메모리 역할 담당

SWAP파티션의 ID번호는 82, LVM은 8e, RAID는 fd

 

- 파티션 분할

파티션 분할하면 파티션 단위의 다양한 정책설정 가능

여러개의 운영체제 사용가능

fdisk는 파티션 테이블을 관리하는 명령어

> 디스크 파티션을 생성, 수정, 삭제할 수 있는 일종의 유틸리티

(a, l(파티션 목록 보기), n(새로운 파티션 추가), t(파티션 종류 변경), w(저장), p(정보 보기), q(작업 종료))

 

* 부트로더는 하드디스크 맨 앞쪽 영역인 MBR에 설치됨

MBR : 부트 매니저 프로그램, 파티션 정보 기록함

MBR에 설치된 부트로더에 의해 여러개의 운영체제 사용 가능

 

- 파일 시스템 = 파일 관리자

운영체제가 파일을 시스템의 디스크 파티션상에 구성하는 방식

일정한 규칙을 가지고 파일을 저장하도록 규칙 방식 제시함

파티션에 파일 시스템 없으면 파일 시스템 생성 거쳐야 사용가능함

고유의 파일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양한 파일 시스템 지원함

 

Proc 파일 시스템(/proc): 계층적 파일 구조형식 보여주는 파일시스템

Swap 파일 시스템 : 가상메모리 관리 파일시스템

하나 이상의 Ext3 (EX4 Native) 파일 시스템 : 리눅스 전용 파일시스템

 

- LVM (Logival Volume Manager) : 용량 늘리는게 목적

여러 개의 하드디스크를 합쳐서 사용하는 기술로 한 개의 파일 시스템 사용함

작은 용량의 하드디스크 여러개를 큰 용량의 하나의 하드디스크처럼 사용함

서버를 운영하면서 대용량의 별도 저장 공간이 필요할 때 활용됨

다수 개의 디스크를 묶어서 사용함으로써 파티션의 크기 줄이거나 늘릴 수 있음

 

- RAID (Redundant Array of Independent Disks 복수 배열 독립 디스크) : 시스템 이상있을때도 가용성을 보장해주는게 목적 / 안정성

여러 개의 물리적 디스크를 하나의 논리적 디스크로 인식하여 작동하게 하는 기술

여러 개의 하드디스크에 일부 중복된 데이터를 나눠서 저장함

데이터를 저장하는 다양한 방법 존재 (=레벨)

레벨에 따라 저장 장치의 신뢰성을 높이거나 전체적인 성능을 향상시키는 등 다양한 목적 만족시킴

각 레벨의 장점을 합친 RAID 구성으로는 RAID 0+1, RAID 1+0이 있음 (큰 숫자일수록 성능 높음)

소프트웨어 RAID, 하드웨어 RAID(안정성높음)

 

* 다수의 디스크나 파티션을 하나로 묶어서 구성하는 기술과 관련있는 조합 > LVM, RAID

 

*RMA 드라이브 = RAM 디스크, RAM의 공간 일부를 보조 저장 공간으로 사용하는 소프트웨어 또는 장치 / 반대개념은 스왑영역

 

🔵 부트 매니저 Boot Manager

- 부트로더 bootloader = 부트스트랩 로더 bootstrap loader

디스크나 플래시에 저장된 운영체제를 읽어 주기억장치에 적재해주는 프로그램

운영체제가 시동되기 이전에 미리 실행되면서 커널이 시동되기위해 필요한 작업을 마무리하고 최종적으로 운영체제를 시동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임베디드 시스템 부트로더 : BIOS, OS Loader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시스템 부팅할 때 가장 먼저 수행됨

운영체제 실행에 필요한 환경 설정하고 운영체제 이미지를 메모리에 복사함

크기가 512바이트로 하드디스크의 첫 번째 섹터인 MBR(Master Boost Record)에 위치

주 파티션마다 부트 섹터 할당됨

분할된 주 파티션은 자신의 부트 레코드를 MBR에 기록하여 실행됨

 

* 부트로더는 하드디스크 맨 앞쪽 영역인 MBR에 설치됨

MBR : 부트 매니저 프로그램, 파티션 정보 기록함

MBR에 설치된 부트로더에 의해 여러개의 운영체제 사용 가능

 

- 런레벨

리눅스 부팅 시 작동하는 서비스들이 있음 > 런레벨에 따라 작동하는 서비스 조정 가능

0~6까지 총 7가지

리눅스가 가동 시 특정 모드의 레벨을 디폴트로 할 경우 파일 /etc/inittab에 설정함

/etc/inittab 파일 형식은 '코드 런레벨:행동:명령어'

runlevel : 현재 실행되는 런레벨 확인하는 명령어

 

0 : 시스템이 종료될 때 사용하는 런레벨

1 : 잊어버린 root 패스워드 복구할 때 사용하는 런레벨

3 : 리눅스 시스템을 서버로 사용할 예정이라서 메모리 절약을 위해 X윈도는 사용하지 않음

4 : 일반적으로는 사용되지 않는 레벨이지만 사용자가 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음

6 : 시스템 재시작

 

- 로그인

X윈도우상에서의 로그인/로그아웃과 콘솔상에서의 로그인/로그아웃이 있음

* 로그인 과정 : 입력한 패스워드와 파일 /etc/password 필드 비교 > 셸 설정 파일 실행 > 로그인 셸 실행

- 로그아웃

logout, exit 또는 조합키 Ctrl + D 사용

일정시간동안 작업을 수행하지 않는 모든 사용자들을 관리자가 강제로 로그아웃시킬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