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백준 1712 : 손익분기점
a, b, c = map(int, input().split())
if b >= c: #손익분기점 존재X
print(-1)
else: ##손익분기점 존재
print(int(a/(c-b) + 1))
A + B*N = C*N 으로 나타낼 수 있으므로 B >= C일 경우에 손익분기점이 존재하지 않는다.
손익분기점이 존재하는 경우 최초 이익이 발생하는 시점은 A/(C-B) + 1이다.
# 공백으로 분리된 세 정수 입력받기
a, b, c = map(int, input().split())
# map 함수
map(function, iterable)
첫번째 인자는 적용하고 싶은 함수, 두 번째 인자에는 리스트나 튜플을 쓴다.
*튜플과 리스트의 차이점 : 튜플은 값을 변화시킬 수 없음
# 리스트에 map함수 사용하기
list = [1,2,3]
def plus(n):
return n+1
res = list(map(plus, list))
print(res) # 1씩 더한 값의 리스트를 출력 [2,3,4]
'Algorithm > Baekjo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10870, 파이썬, 피보나치 수 재귀함수 (0) | 2022.06.30 |
---|---|
#백준 10872, 파이썬, 팩토리얼 재귀함수 (0) | 2022.06.29 |
#백준 2941 크로아티아 알파벳, 파이썬 (0) | 2022.06.29 |
#백준 5622 다이얼, 파이썬 in, not in 연산자 (0) | 2022.06.29 |
#백준 2908 상수, 파이썬 (0) | 2022.06.29 |